더피'Duffii' 양치류 고란초과 [Polypodiaceae] Nephrolepis cordifolia 'Duffii' 국내의 20여종 이상되는 네프로네피스종 가운데 제일 작은 소품으로서 디쉬가든이나 테라리움, 비바리움의 소재로 많이 애용되는 식물이다, 음지에 강한 편이나 저온과 고온다습에 약하므로 통풍에 신경을 많이써야 한다, 관엽소품,15~30도, 반습성.. 실내식물(室內植物)/관엽(觀葉)식물 2007.08.05
상사화 수선화科 상사화 lycoris squamigera 몇해전부터 한집한집 담장에서 볼수있었던 '상상화', 이젠 산책길에서 자주 본다, 그중에서도 곡릉천변 산책길 반환점인 남경농원 울타리의 상사화들이 제일 보기좋다, 볼때마다 한잎두잎 올라와 무성하기만 하던 잎들이 한달전 장마가 시작되면서 모두 쓰러져 흔적도.. 실내식물(室內植物)/야생화(野生花) 2007.08.05
토피어리 실내 토피어리 (Topiary) 전통적인 토피어리 정원에서 응용되어 옥외에서 조형물을 이용하기도 하면서 실내원예로 까지 활용하게 되었다, 철사나 유인이 쉬운 소재를 이용 여러 가지 모양의 프레임을 만들어 이끼를 입힌 후 적합한 식물들을 심어 잘 자라게 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형태를 연출 하는 것을.. 실내식물(室內植物)/관엽(觀葉)식물 2007.08.05
범부채 (Belamcanda) 범부채 [blackberry lily] 학명 Belamcanda chinensis "leopard flower" Iridaceae(붓꽃과) 청정수가 흐르는 우리마을 곡릉천에는 지금 무더위를 피하려고 모여드는 피서객들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다. 다행히 아직 큰 불상사가 없이 질서 유지가 잘되는 편이다, 다만 이용객들이 남기고가는 쓰레기가 날이갈수록 점점 .. 실내식물(室內植物)/야생화(野生花) 2007.08.03
인동초 붉은꽃 인동초 忍冬草 예전엔 금은인동(金銀忍冬)이라고 불리우기도 했다고 한다, 일반 적으로 잘알려진 흰색 인동초와 같은 종이며 자생식물 애호가들의 의해 번식이 많이되어 이제는 예전처럼 귀한꽃이 아니라고 할수 잇다., 인동초는 약재로 사용되며 꽃을 따서 차(茶)로 만들기도 한다. 이웃의 재배포에.. 실내식물(室內植物)/야생화(野生花) 2007.08.02
삼백초(三白草) 삼백초(三白草) 학명:Saururus chinensis 삼백초科 애호가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재배포에서 재배중인 삼백초는 제주도의 습지식물이다. 6~8월에 피는 흰꽃은 하얀잎과 뿌리가 흰색이라 삼백초라는 이름이 붙여짐. 실내식물(室內植物)/야생화(野生花) 2007.08.01
연꽃 연꽃(蓮花) 수련科 학명:Nelumbo nucifera 잎자루의 가시와는 달리 넓은 잎사이로 가볍게 떠오르는 꽃봉오리, 누군가를 기다릴것같던 꽃봉오리는 어느새 꽃잎을 펼친다, 꽃속에서는 온세상에 뿌려질 사랑과 평화의 씨를 만들고 있다. 디카를 가까이 가져가니 미세한 바람을 타고 은은한 향기가 코를 자극.. 실내식물(室內植物)/수생(水生)식물 2007.08.01
나팔꽃 곡릉천변 제방둑 가장자리엔 지금 한창 풀들의 전쟁이다, 장마와 더위를 이용하여 서로 엉켜 생존경쟁이 치열하다 그가운데 나팔꽃도 부딧치는대로 휘감고 꽃을 피운다, 그러나 뜨거운 태양은 싫어한다, 그저 아침바람과 이슬이 좋다 실내식물(室內植物)/다육(多肉)식물 2007.07.31
Pachypodium = 덴시풀로럼 (다육식물) 다육식물 Pachypodium densiflorum 유통명: 덴시풀로럼 노란꽃이 매혹적이다, 더위를 아랑곳하지 않고 품위를 유지하는 노란꽃이 매혹적이다, 5도이상월동,양지, 실내식물(室內植物)/다육(多肉)식물 2007.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