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봉선 물봉선 계곡 가까운 습지에 물봉선의 군락지가 보인다, 빨간 물봉선은 흔하지만 노랑색은 그리 흔한것이 아닌데 이곳은 함께 어우러져 있다, 디카로 초점을 맞추는데 지나가던 어린학생이 물어본다, "무슨꽃이나요?" 물봉선의 아름다움을 감상하면서 아주 즐거운 산행을 한다, 어린이가 더 호기심이 .. 실내식물(室內植物)/야생화(野生花) 2007.09.27
엉겅퀴 북한산계곡에서도 햇볕이 잘드는 지역이 있다, 지난 옛날의 절터나 유적지의 흔적이 있는 곳 엔 대부분 큰 나무가 없이 반 나절이상은 햇빛이 드는곳 이라고 할수 있다, 어디서 날라와 자리를 잡았는지 외로이 피어있는 '엉겅퀴'는 오가는 등산객들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오직 우리 같은 몇 안되는 사.. 실내식물(室內植物)/야생화(野生花) 2007.09.27
설악초 설악초 지난해에 외출에서 돌아오는길에 하얀색의 잎사귀가 얼마나 이쁜지 주인에게 양해를 얻어 씨를 얻어와 이렇게 화분에서 키우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글쎄 이름이 기억이 나질 않는다"고 하길래 웃으면서 '설악초' 라고 가르쳐 주었다, 양지를 찾는 어르신들이 화분 주위에 앉아서 이렇게 점.. 실내식물(室內植物)/야생화(野生花) 2007.09.27
차나무 차나무科 Theaceae 차나무 [tea-plant] Camellia sinensis 일명 "Tea plant" (glassflower in Harvard Museum ) 처음 볼 때는 꼭 동백나무의 한 종류인줄 알고 주인에게 물어보니 차나무라고 한다, 자세히 관찰하게 되었다, 가을의 화훼시장은 흰 꽃이 참 귀한 편이다, 그런 이유일까 화훼업자들의 다양한 상품개발 노력에 의해.. 실내식물(室內植物)/분화(盆花)식물 2007.09.24
꽃기린 대극과 [Euphorbiaceae] Euphorbia 몸이 없는 "꽃기린" Euphorbia 'giant christtorn' in California 근래에 수입되어 재배되고 있는 Milii 계통의 교배종(개량종)이 아닌 재래종으로서 잎이 크고 잘자라는(1미터이상) 품종이다, 3도이상이면 월동이 가능하고 광선을 좋아해 5~9월까지는 실외에서도 관리가 가능하며 실내에서.. 실내식물(室內植物)/관엽(觀葉)식물 2007.09.24
파피오페딜럼 양란科 Paphiopedilum 프라그미페디움 도쿄돔전시회에서 '파피오페딜럼' 관리 요령을 습득하여 일년에 한번쯤은 아름다운 꽃에 흠뻑 빠질수 있는 행복을 만끽 해보면 파피오의 유혹이 만만치 않다는것을 알게 될 것이다, 관리요령 http://www.jaeheenan.com/ 실내식물(室內植物)/양란(洋蘭) 2007.09.23
프라그미페디움 난과 : 프라그미페디움 Phragmipedium 참고 시프리페디움 *도쿄돔전시회에서 '파피오페딜럼' * 파피오페딜럼<Paphiopedilum > 프라그미페디움 시프리페디움과 파피오페디움은 쉽게 표현하자면 사 촌 지간 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만치 서식지의 환경이 비슷할 뿐더러 생육습성도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물.. 실내식물(室內植物)/양란(洋蘭) 2007.09.23
시프리페디움 난科 시프리페디움 Cypripedium 평소 교류하던 원로 한분이 해외(일본)에서 사진을 보내왔다, 그 중 몇 장만 골라본다, 아마 동호회에서 수집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의 난전시회에서도 가끔 볼수 있는 란이다. 국내 난애호가들이 증가하면서 특히 자생란 애호가들에게 개불알꽃, 또는 광릉요강등으로 전.. 실내식물(室內植物)/양란(洋蘭) 2007.09.23
운지버섯 운지버섯 우난히 날굳은 날씨 때문인지 운지버섯이 눈에 자주 띈다, 나무 종류와 위치에 따라 버섯의 모양과 색갈이 다른것 같다, 좀더 버섯에 대한 지식정보가 필요하다는걸 느긴다, 하지만 사진속의 버섯은 정말 매력적이다. 실내식물(室內植物)/야생화(野生花) 2007.09.22
산딸나무 열매에 는 울타리에 산딸나무 열매가 빨갛게 익어가며 제힘에 겨워 하나둘 덜어지고 있다, 가까이 가면 열매익는 냄새가 바람을 탄다, 그 유혹에 빠진 말벌은 지금 단맛에 삼매경이다, 용감한 디카를 아랑곳하지도 않고...... 실내식물(室內植物)/야생화(野生花) 2007.09.22